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2025 육아휴직급여 신청방법 총정리 (자격조건·금액·신청절차 한눈에)
육아휴직급여는 근로자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생 2학년 이하 자녀 양육을 위해 30일 이상 휴직할 경우 받을 수 있는 고용보험 기반의 지원금입니다. 2025년 기준 월 최대 **250만 원 지원**, 신청 기한과 절차만 제대로 알면 누구나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.
✔️ 육아휴직급여란?
- 지원 대상: 고용보험 가입 기간 180일 이상, 육아휴직을 30일 이상 사용한 근로자
- 지원 형태: 휴직 기간 동안 현금 방식으로 지급 (사업주는 임금 부담 없음)
👤 신청 자격 조건
항목 | 조건 |
---|---|
고용보험 가입 | 피보험 단위기간이 180일 이상 |
휴직 기간 | 최근 12개월 내 합산하여 30일 이상 육아휴직 사용 |
신청 기한 | 육아휴직 시작 1개월 후 ~ 종료 후 12개월 이내 |
💰 지급 금액 기준 (2025년 상한 기준)
기간 | 급여 수준 | 상한금액 |
---|---|---|
1~3개월 | 통상임금의 100% | 최대 250만 원 |
4~6개월 | 통상임금의 100% | 최대 200만 원 |
7개월 이상 | 통상임금의 80% | 최대 160만 원 |
📋 신청 방법 절차
- ① 회사에 육아휴직 신청 및 기간 확정
- ② 고용24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 로그인 → ⋯[개인서비스] → [모성보호] → 육아휴직급여 신청
- ③ 필수 서류 제출
- ④ 고용센터 방문·우편 또는 온라인 신청가능 (단 기업이 확인서를 제출했는지 여부에 따라 온라인 가능 여부 상이)
- ⑤ 신청 승인 후 계좌로 입금 (보통 14일 이내)
📁 필요서류
- 육아휴직급여 신청서 (본인 작성)
- 육아휴직 확인서 (사업주 작성)
- 통상임금 확인 서류 (임금대장, 근로계약서 등)
- 휴직 중 금품 수령 기록이 있는 경우 관련 증명자료
- 한부모 근로자일 경우 해당 증빙자료 포함
🤔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부모가 번갈아 육아휴직 사용하면 급여는 어떻게 되나요?
‘부모 동시 육아휴직제’ 적용 시 첫 6개월 동안 통상임금 100% 지급, 최대 월 45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 이후 단계별 상한 적용
Q. 육아휴직 급여는 비과세인가요?
네, 비과세 소득입니다. 단, 4대 보험은 계속 유지되어야 합니다.
Q. 신청 기한을 놓치면 받을 수 없나요?
육아휴직 시작 후 1개월 이후부터 신청 가능하고, 종료 후 12개월 이내까지 신청해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.
🔗 관련 콘텐츠
육아휴직급여는 아이와 보내는 시간을 경제적으로 도움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 신청 기한을 놓치지 않도록 꼭 해당 기간 내 신청하세요!
반응형